< ga(j' e ae); < mtegt'ao fcgh,a'rAs2e3t4=1"8U1T)F -/8c"i>t 상처 간호(wound care) 유형 및 치유과정
nurse/nursing

상처 간호(wound care) 유형 및 치유과정

미미로키 2023. 7. 2.
반응형
썸네일

Ⅰ. 상처

1. 상처의 유형

①상처: 의도적인 상처와 비의도적인 상처
- 의도적인 상처: 치료 중에 발생한 상처로 수술이나 정맥천자 등에 의해 생긴 상처
- 비의도적인 상처: 예상치 못하게 발생한 상처로, 자동차 사고로 인한 골절 같은 상처
②개방형 상처
: 피부나 점막표면이 파괴된 경우
③폐쇄성상처
: 상처부위의 피부통합성이 파괴되지 않았을 경우
④원인에 따른 분류
㉠절개상(incision)
: 예리한 기구(칼, 외과용 매스 등)로 인해 생긴 개방형 상처
㉡타박상(contusion)
: 둔탁한 물체에 세게 부딪쳐서 생긴 폐쇄성 상처, 하부조직 내의 출혈(멍)이 있다.
㉢찰과상(abrasion)
: 마찰에 의한 피부의 표재성 상처, 개방형 상처 반흔(흉터) 조직 제거를 위한 피부과적 시술도 포함됨
㉣자상(stab wound)
: 의도적, 비의도적으로 피부나 하부조직을 관통할 수 있는 (puncture) 날카로운 물건으로 찔린 개방형 상처
㉤열상(laceration)
: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게 찢긴 개방형 상처
㉥관통상(penenetrating)
: 피부와 하부조직이 관통되는 개방형 상처
㉦결출(awlsion)
: 무리하게 뜯어진 개방형 상처
⑤깊이에 따른 분류
㉠표재성(parital thickness): 표피, 진피에 국한된 상처로 조직재생으로 치유됨
㉡심부(full-thickness): 표피, 진피, 피하조직, 심한 경우 근육, 뼈까지 침투한 상처로 결합조직의 복구가 필요함
⑥오염가능성 및 정도에 따른 분류
㉠깨끗한 상처(clean wound)
- 위장관계, 호흡기계, 비뇨기계를 침투하지 않은 상처
- 주로 폐쇄형 상처
㉡깨끗하게 오염된 상처(clean-contaminated wound)
- 위장관계, 호흡기계, 비뇨기계를 침투한 수술 상처로 감염의 징후는 없다.
㉢오염된 상처(contaminated wound)
- 사고로 인한 외상 상처, 무균법이 지켜지지 않거나 위장관계가 오염된 상태에서의 수술로 인한 상처, 염증의 증거가 보임
㉣감염된 상처(dirty infected wound)
- 괴사조직이 있는 오래된 상처, 화농성 배액이 나타나며 임상적으로 감염의 징후
 

 

2. 상처치유과정

(1) 상처치유의 유형

①일차유합
- 깨끗한 외과적 절개와 같이 조작손상이 없거나 적은 상처는 일차유합에 의해 치유됨
- 피부가장자리는 접합되거나 촘촘하게 붙고, 감염의 위험은 적다.
②이차유합
- 심한 열상과 같은 조직손상을 포함한 상처나 욕창과 같은 만성적인 상처가 치유되는 것
- 일차유합에 비해 피부의 가장자리가 모아지지 않아 상처치유기간도 더 오래 걸리고, 흉터도 더 커지고, 감염위험도 더 크다.
- 육아조직층이 상처를 덮고 상처수축으로 상처가장자리가 접합됨
- 상처가장자리가 접합되며, 상처는 반흔으로 채워진다.
③삼차유합
- 상처봉합이 지연, 육아조직 증가, 감염위험증가, 큰 흉터

(2) 상처의 치유단계

①염증기
㉠출혈의 조절과 상처치유를 위한 깨끗한 상처환경을 제공하는 단계
㉡손상직후부터 3~6일 후까지 지속됨
㉢지혈작용과 포식작용이 나타남
㉣부종, 발적, 열감 발생
㉤혈소판
- 응고와 혈관수축을 일으킴
- 혈소판이 깨지고 성장인자가 방출되면 전체 상처치유과정의 초기화가 나타남
- 이물질과 죽은 조직을 제거하기 위해 혈관 및 세포반응이 일어나 →혈관투과성증가, 부종발생
㉥백혈구: 간질강 내로 이동하여 포식작용을 함
②증식기
- 손상 3~4일 후부터 약 3주간 지속
- 새로운 조직의 생성, 상피화, 수축
- 새로운 모세혈관망: 새로운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을 제공, 콜라겐 합성을 돕기 위해 생성
- 콜라겐섬유소와 모세혈관망의 크기가 증가하고 합성을 계속하기 때문에 상처는 수축시작
- 이 기간의 마지막에는 상피세포가 이동하여 결손부위를 덮는 상피화가 진행
- 상피화: 습한 환경에서 좀 더 빠르게 진행되므로 상처간호에 습윤드레싱이 필요함
- 증상: 부종/발적과 같은 전신증상은 없어진다
③성숙기
- 반흔조직에 보다 더 탄력 있고 강력한 콜라겐을 생산하기 위한 콜라겐 재형성기간
- 손상 3주 후부터 약 1~2년까지 지속된다.

 

(3) 상처삼출액의 종류

①삼출액: 염증과정 동안 조직의 표면이나 안쪽혈관에서 빠져나오는 체액이나 세포 같은 물질이 쌓이게 됨
㉠장액성삼출물
- 혈액과 복막과 같은 장막으로부터 나온 혈청으로 구성된 맑은 액체
- 세포는 거의 포함되어있지 않음
- 예) 화상으로 인한 수포(물집)에 들어 있는 맑고 노르스름한 액체
㉡화농성삼출물
- 고름으로 되어있어 장액성보다 점도가 더 높음
- 액화된 죽은 조직 부스러기 및 죽었거나 살아있는 세균으로 구성
㉢혈액성삼출액
- 다량의 적혈구를 포함하고 있음

(4) 상처치유의 합병증

①출혈
②감염
③벌어짐 또는 내장척출
④누공
- 두 장기사이 또는 장기와 피부사이에 생긴 비정상적인 통로
<상처지지와 움직임 제한>
- 상처를 지지하고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붕대와 바인더가 다음과 같은 목적에 따라 사용된다.
①상처지지(골절)
②상처의 움직임제한(어깨부상)
③압력부과(다리의 정맥혈 순환향상을 위한 탄력붕대적용)
④드레싱고정(복부의 광범위 수술)
⑤보온(류머티즘관절염 있는 관전에 융으로 된 붕대적용)
<붕대와 바인더 적용의 원칙>
- 올바르게 적용된 붕대와 바인더는 상처나 주변부위에 상해를 입히거나 불편함을 주지 않는다.
①찰과상, 부종, 변색 또는 상처가장자리의 노출이 있는지 피부를 사정한다.
②개방상처나 개방형 찰과상이 있는 부위는 멸균드레싱으로 덮는다.
③드레싱의 상태를 사정하고 만일 젖어있다면 교환함
④붕대를 적용한 다음에 적용부위와 다른 부위를 비교하여 말초순환장애의 징후(냉기, 창백, 청색증, 맥박의 감소 또는 소실, 부종, 무감각, 저림 등)가 있는지 사정함

 

반응형

댓글

TOP

방문하시는 모든 분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Mynem Skin 2.7.3 © Armynem